
9월 22일 새벽, 미국발 악재에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증시가 휘청했다. 경기 회복을 최우선으로 한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3연속 금리 인상 때문이다. 원달러 환율은 1400원을 돌파하는 등 악재가 겹쳤다.
게임주식도 몰락했다.
무려 14개 종목이 신저가를 경신했다.
여기에는 엔씨소프트(34만6500원), 넷마블(5만5700원), 카카오게임즈(4만3550원), 위메이드(4만9600원), NHN(2만2350원) 등 일부 대형주가 포함됐다.
이외 플레이위드(6450원), 웹젠(1만5250원), 조이시티(3875원), 룽투코리아(3275원), 와이제이엠게임즈(1565원), 액토즈소프트(7800원), 드래곤플라이(1260원), 바른손이앤에이(974원), 웹젠(1만5250원) 등도 52주 최저가를 갈아치웠다.
게임 빅8이 모조리 하락하면서 전체 시가총액은 41조원대로 곤두박질쳤다. 1조원 넘게 증발한 41조137억원이다.
전체 거래량과 대금도 전일보다 감소했다.
엔씨소프트는 장중 34만6500원으로 최근 일 년 새 최저가를 기록했다. 종가는 2.66%(9500원) 하락한 34만7000원이다. 거래량은 8만56947주로 전일대비 85%가량 늘었다. 기관이 1만6801주를 던지며 매도 행진을 6거래일째 지속했다. 외국인은 409주를 팔았고 개인이 1만7169주를 쓸어 담았다.

넷마블은 -3.77%(2200원)로 2거래일째 우하향했다. 종가는 5만6200원으로 2022년 들어 가장 낮았다. 장중에는 4% 넘게 하락한 5만5700원으로 신저가를 경신했다. 거래량은 19만8083주로 전일대비 약 30% 늘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만6086주와 5만797주를 던지며 쌍끌이 매도에 나섰다. 개인은 6만5094주를 쓸어 담았다. 기타 투자자 매수량은 1789주다.

카카오게임즈는 3.93%(1800원) 하락한 4만4000원으로 마감했다. 장중에는 연중 최저가인 4만3550원을 기록했다. 거래량은 68만4245주로 어제(약 35만주)보다 두 배 가까이 늘었다. 기관이 13만7679주, 외국인이 4만5949주의 매물 폭탄을 던졌다. 개인과 기타 투자자 매수량은 각각 17만7925주와 5703주다.
카카오게임즈는 이날 넵튠과 컬러버스 등과 3자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메타버스 사업 강화를 위한 조치다. 메타버스 플랫폼 컬러버스는 오는 2023년 정식 서비스에 나설 예정이다.

위메이드는 3.98%(2100원) 내린 5만6000원으로 장을 마쳤다. 장중에는 4만9600원으로 52주 최저가를 나타냈다. 거래량은 전일대비 74%가량 증가한 34만1956주다. 기관이 2만2939주의 매물을 쏟아냈고 기타 투자자가 1544주를 팔았다. 외국인은 2만485주를, 개인은 3998주를 매입했다.

9월 22일 목요일, 코스피는 14.90포인트(0.63%) 빠진 2332.31로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85억원과 2814억원어치를 팔았다. 개인은 3126억원을 순매수했다. 300개 종목이 우상향했고 579개가 하락했다. 일성신약이 가격제한폭까지 올랐다.
코스닥은 3.48포인트(0.46%) 하락한 751.41로 간신히 750선을 지켰다. 외국인이 483억원을 순매도했다. 기관은 308억원, 개인은 182억원어치를 샀다. 상승 종목은 425개다. 한일사료, 넥스트칩, WI, 코스나인 등은 상한가를 나타냈다. 1019개는 우하향했다.

게임주는 평균등락률 1.95%다. 2거래일째 약세다.
상승 종목이 3개에 그쳤다. 오름폭도 크지 않았다.
스코넥이 +1.47%(200원)로 가장 크게 상승했고 NHN(+0.65%), 바른손이앤에이(+0.50%)가 강보합을 나타냈다.
NHN은 장중 2만2350원까지 밀리며 신저가를 경신했지만 이를 만회하며 상승 마감했다. 종가는 전일대비 150원 오른 2만3400원이다. 거래량은 7만7624주로 전일대비 약 70%가량 증가했다. 외국인이 5428주를, 기타 투자자가 35주를 팔았다. 기관은 5200주를 매집, 7거래일 연속 팔자를 일단락했다. 개인은 263주를 사들였다.

하락 종목은 27개로 급증했다.
데브시스터즈가 -6.46%로 최대 낙폭을 기록했고 썸에이지(-4.07%), 미투온(-4.14%), 와이제이엠게임즈(-4.40%) 등이 뒤를 이었다.
-2%~-3%대로 마감한 게임주는 12개다.
룽투코리아, 네오위즈,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위메이드플레이, 위메이드맥스, 액토즈소프트, 한빛소프트, 넷마블, 카카오게임즈, 웹젠, 위메이드 등이다.
크래프톤은 -2.48%(5500원)로 4거래일째 우하향했다. 종가는 21만6500원이며 거래량은 13만5974주로 전일보다 1만주 넘게 줄었다. 개인이 2만8811주를 싹쓸이하며 4거래일째 매수에 앞장섰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만1067주와 1만2902주를 팔았다. 기타 투자자 매도량은 4842주다.

썸에이지는 '데카론G' 해외 진출을 위한 사전예약에 나섰다. 주가는 -4.07%(50원)로 전일 폭락(-15.75%)에 이어 2거래일째 약세를 지속했다. 종가는 1180원이며 거래량은 241만2525주로 전일(약 970만주)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외국인이 1만4751주를 순매도, 2거래일째 팔자에 앞장섰다. 개인은 6231주를 팔았고 기관이 1만8973주를 쓸어 담았다. 기타 투자자 매수량은 2009주다.

정규장 마감 기준, 총 거래량은 1315만6745주다. 어제보다 318만9734주가 많았따.
NHN, 바른손이앤에이, 조이시티, 엠게임, 플레이위드, 엔씨소프트, 위메이드플레이, 액토즈소프트, 한빛소프트, 카카오게임즈, 웹젠, 위메이드, 와이제이엠게임즈 물량이 전일대비 50% 이상 증가했다.
반면 썸에이지와 데브시스터즈 거래량은 50% 넘게 줄었다.

데브시스터즈 거래량은 6.46%(2900원) 하락, 최근 2거래일 연속 상승을 일단락했다. 종가는 4만2000원이다. 외국인이 5188주, 개인이 5994주를 팔았다. 기관은 1만945주를, 기타 투자자가 237주를 매집했다.

웹젠은 3.96%(650원) 후퇴했다. 7거래일째 보합과 하락을 지속한 것. 이날 종가는 1만5750원으로 1만6000원 선이 붕괴됐다. 장중에는 1만5250원으로 신저가를 갈아치웠다. 거래량은 12만8399주로 9월 들어 가장 많았다. 개인이 2만4077주를 순매수, 홀로 사자 우위를 나타냈다. 외국인은 2만88주의 매물을 쏟아냈다. 기관과 기타 투자자 매도량은 각각 3671주와 318주다.

전체 거래대금은 전일보다 2221억1400만원이 감소한 037억600만원이다.
카카오게임즈가 301억65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엔씨소프트(299억4100만원), 크래프톤(293억1800만원)이 뒤를 이었다.
이외 100억원 이상을 기록한 게임주는 5개다.
컴투스(107억1400만원), 넥슨게임즈(127억5000만원), 네오위즈(108억8900만원), 넷마블(111억4700만원), 위메이드(171억7300만원) 등이다.
전체 시가총액은 전일보다 1조1159억원이 증발한 41조137억원이다. 올 들어 최저치다.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대형주가 모조리 하락했다.
위메이드(-3.98%), 카카오게임즈(-3.93%), 넷마블(-3.77%) 등이 3% 넘게 하락했다. 엔씨소프트(-2.66%), 크래프톤(-2.48%) 등은 -2%대로 마감했다.
컴투스(-1.30%), 넥슨게임즈(-1.41%), 펄어비스(-1.79%)는 약보합으로 장을 마쳤다.

컴투스는 -1.30%(1100원)으로 2거래일째 부진했다. 종가는 8만3400원이며 거래량은 12만8815주로 전일대비 약 37% 감소했다. 외국인, 기관, 기타 투자자가 각각 1만1173주, 2080주, 1442주의 매도 우위를 보였다. 개인은 1만4695주를 매입했다.

넥슨게임즈는 1.41%(250원) 하락, 3거래일째 우하향했다. 종가는 1만7450원이며 거래량은 72만8749주다. 전일대비 약 32% 줄었다. 외국인이 3만7939주를 싹쓸이했다. 기관, 개인, 기타 투자자 매도량은 각각 9462주, 2만614주, 7863주다.

펄어비스는 1.79%(1000원) 하락, 최근 3거래일 연속 상승을 일단락했다. 종가는 5만4900원이며 거래량은 15만5940주다. 전일대비 약 30% 감소했다. 3거래일째 쌍끌이 매수에 나섰던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950주와 4253주를 팔았다. 개인은 9241주를 담으며 홀로 매수 우위를 나타냈다. 기타 투자자 매도량은 3038주다.

'게임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엠게임, 주가 안정 도모…자사주 매입! (0) | 2022.09.26 |
---|---|
40조원 무너졌다! 게임주, 암흑 속으로 (2) | 2022.09.23 |
게임주 극과극…데브시스터즈↑· 썸에이지↓ (1) | 2022.09.21 |
BTS 효과? 데브시스터즈, 외풍에도 '폭등' (1) | 2022.09.21 |
게임주 '반등'…상한가·신저가 공존 (1) | 2022.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