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스포츠

라이엇, LCK25 '이벤트 대회'로 출발

728x90
반응형
1월10일 ,시즌1:녹서스로의 초대 시즌 오프닝

LoL 클라이언트와 LCK컵 모두 녹서스 테마 적용

같은 포지션 선수들 팀 이뤄, 다른 포지션과 대결

지난 12월 29일(일), 'LCK 어워드'를 끝으로 2024년 'LCK CUP(이하 LCK컵)'를 마무리됐다.

2024 LCK 관련한 모든 이슈를 끝나기가 무섭게 2025년 서막을 예고했다.

1월 10일(금) 이벤트 대회 '리그 오브 레전드 ‘2025년 시즌 1: 녹서스로의 초대’ 시즌 오프닝' 개최다.

정식 리그는 1월 15일(수) 시작된다.

2024년 12월 31일(화), '리그 오브 레전드(LoL)' 이스포츠의 한국 프로 리그를 주최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대표 오상헌, 이하 'LCK')가 2025년 시즌 개막에 앞서 이벤트 대회를 알렸다.

'리그 오브 레전드 ‘2025년 시즌 1: 녹서스로의 초대’ 시즌 오프닝' 다.

2025년 1월 10일(금) 오후 6시부터 서울 종로구 롤파크에 위치한 LCK 아레나에서 진행된다.

이번 2025 시즌 1 오프닝 이벤트는 LoL의 2025년 시즌 1의 모토인 '녹서스로의 초대'라는 이름으로 진행된다.

2025년 1월 LoL 클라이언트 게임 서비스와 LCK컵 등 이스포츠 대회가 모두 녹서스 테마로 펼쳐진다.

팬들은 LCK 프로 선수들이 플레이하는 모습을 보면서 2025 첫 번째 시즌을 맞아 녹서스 테마를 적용, 확 달라진 '소환사의 협곡'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시즌 오프닝 이벤트는 2024년 시즌 오프닝과 마찬가지로 같은 포지션의 선수들이 한 팀을 이뤄 다른 포지션 선수들로 구성된 팀과 대결하는-소위 라인 CK-방식으로 진행된다.

탑 라이너, 정글러, 미드 라이너, 원거리 딜러, 서포터, 5개의 포지션을 대표하는 선수들이 대거 출전, 팀이나 개인의 명예가 아닌 오직 '포지션'의 명예를 놓고 대결을 펼친다.

예를 들어 미드 라이너 포지션인 '페이커' 이상혁, '쵸비' 정지훈, '제카' 김건우 등으로 구성된 5명이 한 팀을 이룬 뒤 정글러 포지션의 '오너' 문현준, '피넛' 한왕호, '캐니언' 김건부 등으로 구성된 5명과 대결하는 방식이다.

각 팀은 이벤트 전의 취지에 맞는 가이드 라인에 따라 선수들이 뽑은 주장의 드래프트를 통해 선정된다.

선수들이 직접 투표한 결과 각 포지션의 주장은 '기인' 김기인, '피넛' 한왕호, '페이커' 이상혁, '구마유시' 이민형, '딜라이트' 유환중으로 선정됐다.

2024년 시즌 오프닝에서 최고의 실력을 갖춘 팀이라는 사실을 입증했던 정글러 포지션 선수들에게는 전년도 우승자에 대한 예우가 적용되어 가장 마지막에 경기장에 등장하며 정글 로고 위에 왕관이 추가된다.

이번 시즌 오프닝 이벤트의 대진은 '피지컬 30'이란 이름으로 치러지는 미니 게임을 통해 정해진다.

5대5 대결로 진행되는 본경기는 단판 토너먼트 방식으로 펼쳐진다.

네 번의 단판 토너먼트에서 살아남은 한 팀이 이번 이벤트전의 최종 승자가 되며 LoL을 가장 잘하는 포지션으로 인정받는다.

MVP에게는 상금 100만 원이 주어지며 우승팀에게는 각 선수가 좋아하는 챔피언의 스킨 각 1종씩 총 5종이 팬 선물용으로 일정 수량 주어진다.

해당 스킨은 선수의 소속팀에서 자체적인 이벤트 혹은 추첨 방식을 거쳐 선정된 팬들에게 시즌 개막 선물로 제공된다.

2025 시즌 오프닝 티켓은 LCK 소셜 미디어 채널과 LCK 팀들이 진행하는 이벤트를 통해서만 무상으로 얻을 수 있다.

한국어 중계는 성승헌 캐스터, '클라우드 템플러' 이현우와 경기에 출전하지 않는 팀의 선수가 맡을 예정이며 영어 중계는 7명 전원이 출연, 새 시즌 첫 중계를 함께 한다.

인터뷰는 윤수빈 아나운서가 진행할 예정이다.

관련 페이지 : https://lolesports.com/ko-KR/

 

LoL Esports | 일정

© 2024 Riot Games. All Rights Reserved.

lolesports.com

 

728x90
반응형